본문 바로가기
스토리텔링 이론

캐릭터 행위의 다섯 단계와 장면설계

by 슈티수 2024. 9. 8.
반응형

역동적인 캐릭터가 살아 숨 쉬는 장면설계를 위해 알아야 하는 이론적 배경과
그에 따른 예시를 살펴본다.

이론적 내용은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2>를 참고한다.
장면 예시는 애니메이션 <괴수 8호> 1화에서 이치카와 레노와 히비노 카프카가
괴수의 습격을 받는 장면을 인용한다.

 
Dialogue: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2(양장본 Hardcover)
1997년에 출간되어 글쓰기 분야의 정전으로 인정받아온 《Story: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의 후속작 『Dialogue: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제2권. 수많은 시나리오 작가, 소설가, 극작가, 시인, 다큐멘터리 제작자, 프로듀서, 감독들에게 가르침을 주었던 스토리텔링의 거장 로버트 맥키가 19년 만에 내놓은 이번 책은 영화, 소설, 드라마, 연극에서 등장인물의 말이 어떻게 우리의 신뢰와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부 대사의 기술에서는 대사의 개념을 극단적으로 확장하고 그 용법을 확대시킨다. 2부 결함과 수정에서는 신뢰하기 어려운 대사와 클리셰로부터 시작해 곧이곧대로 쓰는 대사, 반복적인 대사들에 이르는 고질적인 문제들을 꼬집어내 이유를 찾은 후 치유책을 제시한다. 3부 대사 쓰기에서는 작가가 텍스트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말들을 찾아가는 마지막 단계를 검토하고, 4부 대사 설계에서 이야기의 구성 요소들과 장면 설계에 대해 살펴본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부터 영화 《사랑도 통역되나요?》, 《사이드웨이》, 소설 《위대한 개츠비》, 《순수 박물관》, TV 시리즈 《소프라노스》, 《브레이킹 배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주요 장면들을 해체하며 대사 쓰기의 기법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대사 쓰는 방법뿐만 아니라 끝없는 대화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삶에 대한 통찰까지 전해준다.
저자
로버트 맥키
출판
민음인
출판일
2018.10.30

애니메이션 <괴수 8호>

행위의 다섯 단계

1단계. 욕망

욕망은 기본적으로 가지지 못한 채 원하는 무언가(what)이다.
캐릭터가 가지는 욕망에는 기폭제로 인해 생겨난 큰 욕망과
큰 욕망을 달성하기 위해 당장 이루어야 하는 욕망이 있고, 이는 '장면 의도'라 한다.
그 외에도 배후 욕망, 잠재의식 속의 욕망 등 다양하다.

어떤 행위를 위한 단계에 가장 첫 단계는 욕망하는 것이다.
"목말라 물이 마시고 싶다.", "살기 위해 도망가고 싶다." 등
당연하게 이해되는 첫 단계이다.

카프카와 레노가 카프카의 큰 욕망인 방위대 입대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2단계. 적대감

캐릭터는 어떤 것을 욕망하고 나서 그 욕망을 달성하는데 방해되는 요소,
즉 '적대 세력'의 존재를 감지하고 인식한다.
"물이 마시고 싶지만, 집에 물이 없어 사와야 한다."
이 상황에서는 가벼운 지갑 사정이 적대 세력이 될 수도 있고
캐릭터의 귀찮은 마음이 적대 세력이 될 수도 있다.

괴수가 나타나 레노의 목숨을 노린다.

- 순식간에 장면 의도(당장의 욕망)가 발생한다. [레노의 목숨을 구해야 한다.]

 

3단계. 행동의 선택

결국 캐릭터는 장면 의도(당장 이뤄야 하는 욕망)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해야 한다.
물을 주문하기 위해 전화기를 집어들 수도 있고, 옆 방에 있는 동생에게 시킬 수도 있다.
소설 같은 매체에선 심리묘사나 혼잣말,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지켜볼 수 있지만
보통은 선택의 결과를 행동으로 목격하며 이해한다.

 

4단계. 행동

행동 선택의 결과이자 실행 단계로써 캐릭터는 행동한다.
- 일어나서 물을 사 온다.
- 아르바이트 자리를 알아보기 위해 컴퓨터를 켠다.
등등 무한히 많은 선택지가 존재한다.
행동은 신체 활동일 수 있고, 언어 활동일 수도 있다.

카프카는 몸을 날려 레노를 구한다.

- 행동의 선택과 행동이 동시에 드러난다.

 

5단계. 표현

만약 행동이 언어 활동인 경우 캐릭터의 대사로 표현되거나
비언어적 행동('어깨를 툭 친다.', '주먹을 꽉 쥔다.' 등)으로 표현된다.

카프카는 자신을 희생해 레노를 구한다.


- 대사로 표현된다. "이치카와, 뛰어! 전력으로 여길 벗어나."

 

장면 설계

위 이론적 행위의 5단계는 장면 설계에 앞서 작가가 이미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이다.
인물의 욕망과 성격, 필요와 역량을 파악하고 나서야
비로소 캐릭터가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설계할 수 있다.

장면 설계는 단계를 나눠 실행한다.
큰 관점에서 먼저 장면의 중요한 지점들을 설계한 다음
작은 관점에서 구체적인 캐릭터의 행동과 반응, 표현이 담긴 비트를 떠올린다.

큰 관점에 필요한 중요 지점은 시작점(장면), 기폭점(전환점), 결말점.
그리고 갈등과 가치 변화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