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텔링 분석 리뷰

스토리 분석을 위한 <세이브 더 캣> 장면 비트 간단 설명 (3) 完

by 슈티수 2024. 8. 22.
반응형

스토리 분석을 위한, 3막 구조 와 <세이브 더 캣> 장면 비트 간단 설명 (1)

 

스토리 분석을 위한, 3막 구조 와 <세이브 더 캣> 장면 비트 간단 설명 (1)

스토리 콘텐츠를 분석하는 도구로저는 3막 구조와 장면 비트를 활용합니다.이야기를 구조화하여 분리하고각 구조의 기능과 역할을 따져보면새로운 관점 등 배울 수 있는 게 많

onstory3acts.com

스토리 분석을 위한 <세이브 더 캣> 장면 비트 간단 설명 (2)

 

스토리 분석을 위한 <세이브 더 캣> 장면 비트 간단 설명 (2)

이전 글에서는 하나의 스토리에서가장 큰 단위의 구조인3막 구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그런 3막 구조를 구성하는15개의 장면 비트에 대해알아보겠습니다.여기서 비트(beat)는

onstory3acts.com

 

이전 글에 이어서 바로 2-2막을 구성하는
장면 비트를 알아보겠습니다.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스포일러를 포함합니다.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포스터

2-2막의 장면 비트

<다가오는 악당>
<절망의 순간> - 단일 장면
<영혼의 어두운 밤>

 

'다가오는 악당'은 중간점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만약 앞선 중간점에서 주인공이
'가짜 실패'를 겪었으면 상승 곡선을 그리며
상황이 나아지는 것처럼 보이고
반대로 '가짜 성공'을 겪었으면 하강 곡선을 그리며
상황이 나빠지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생각나는 예시는 마블의 스파이더맨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 다른 차원의 빌런들을
갱생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그 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이
이 장면 비트에 해당합니다.
위 경우에는 닥터 스트레인지와의 갈등으로 '가짜 실패'를 겪은
스파이더맨이 상승 곡선을 그리는 모양새입니다.

하지만 '절망의 순간'에선 앞선 비트가 상승이든 하강이든
주인공이 절망에 빠지는 큰 반전을 겪게 됩니다.
이 파트는 1막의 기폭제가 2-2막에서 다른 형태로

(조금 더 심각해진 형태로)
반복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를 이어서,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는
주인공 피터 파커의 메이 숙모의 사망이
'절망의 순간' 장면 비트에 해당합니다.



제2의 기폭제 이후에는 제2의 토론이 존재합니다.
'영혼의 어두운 밤'이 바로 그 파트의 다수 장면 비트입니다.
이때 주인공은 절망에 고통스러워하면서 여러 가지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예시로 든 영화에서는 숙모의 죽음으로 절망하는 스파이더맨과
다른 차원에서 온 스파이더맨과
피터의 친구들이 그를 찾고 위로하는 과정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3막의 장면 비트

대망의 3막 장면 비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3막 진입> - 단일 장면
<피날레>
<라스트 이미지> - 단일 장면

 

'3막 진입'은 주인공이 깨달음을 얻는 장면입니다.
본질적인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순간입니다.
주인공은 이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상태가 됩니다.

'피날레'는 3막 진입 장면 비트의 깨달음을 필두로
본격적인 행동에 나서는 단계입니다.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는 피터가 자신의 욕심을 깨닫고
모든 것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 다른 차원에서 넘어온
빌런들과 액션을 벌입니다.

마지막 대결이 끝나고 주인공은 1막과는
또 다른 일상 세계로 복귀합니다.
바로 그 부분이 나타나는 장면 비트가 '라스트 이미지'입니다.
1막에서의 오프닝 이미지와 대비되어
관객들에게 완결성과 여운을 주는 장면 비트입니다.

이로써 15개의 장면 비트를 모두 소개해 드렸습니다.
많이 생략되었고 예시도 단편적으로만 들었기 때문에
완전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겠지만,
충분히 참고할 순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직접 창작에 활용할 수도 있지만
저는 다양한 스토리 콘텐츠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내용들에 관심이 생기셨다면
참고 서적인 <Save the Cat! 나의 첫 소설 쓰기>을
읽어보시길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