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최애의 아이>를 봤다.
처음 애니메이션이 공개된 지는 꽤 시간이 지났다.
최근에는 시즌2가 공개된 모양이다.
보기 전에 사전 정보는 거의 모른 채로 봤다.
아이돌이라는 요아소비 노래가 크게 히트했고 본작도 인기가 많다는 것 정도만 알았다.
그림이 예뻐 보이길래 체크해놓긴 했는데 보기까지 꽤 오래 지나버렸다.
막상 1화를 보려고 하니 80분 이상 되는 긴 프롤로그 느낌이어서 놀랬다.
대략적 인상
장면은 내가 생각한 기준으로 10개 정도 되는 것 같다.
1화이지만 어마어마하게 전개가 빠르고 시간이 쑥쑥 지나간다.
굵직한 사건도 마구 쏟아진다.
보기에 지루함은 전혀 없었다.
스릴러, 연예계 이야기, 인물의 드라마, 코미디 요소가
다양하게 집약되어 있었다.
하지만 완결에 다다랐을 때
묘한 불쾌감에 다음 화로 곧장 넘어갈 수 없었고
그 이유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봐야 했다.
<최애의 아이> 개연성 문제
먼저 애니메이션 <최애의 아이>는 사람과 비슷한 인형들을 보는 것처럼 기괴하게 느껴졌다.
가장 큰 이유는 과한 생략과 과장으로 인한 개연성 부족이라고 생각한다.
애니메이션 영화 한 편 분량에 1화에는 너무 많은 내용을 담아야 했다.
그래서 부득이하게 개연성을 포기한 것처럼 보인다.
개연성은 개인마다 체감하는 정도가 다르지만,
내 경우엔 복선이나 인물의 성격 표현이 선행되어야 어느 정도 확보된다고 생각한다.
'이 캐릭터가 이제껏 이래왔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하겠구나.'라는 이해이다.
그래야지 그 예상이 빗나갔을 때 놀라움이 극대화되고, 관객은 지루할 수 있는
해당 행동의 이유를 설명하는 파트를 오히려 기다리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1화에선 그런 걸 선행할 시간이 없다.
아마미야가 과거 자신의 환자 사리나를 따라 호시노 아이를 덕질하는 것부터 별로 와닿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가장 중요한 결말에서 터졌다고 생각하는데,
바로 아쿠아가 친부를 배후로 지목하고 연예계에 들어가 복수하겠다는 절정의 부분이다.
실제 범인은 분명 죽었는데 어떤 의미에서 복수를 한다는 건지,
배후자의 존재 자체도 억지라고 생각되는데, 그걸 어떻게 친부라고 확신하고
거기에 직접 죽이겠다는 무서운 복수까지 결심한다는 사고 과정이 대단히 부자연스럽게 느껴졌다.
직접 복수하는 건 그렇다 쳐도 왜 그 자신이 친부를 찾는데 꼭 연예계에 종사해야 하는가?
과학수사대 경찰이나 유전학자가 되는 게 훨씬 빠르고 효과적이지 않으냐는 생각이 든다.
전생에 의사였으니깐.
나는 1화를 다 보고 아쿠아의 추리가 전부 맞다고 생각했다.
당연히 작가는 배후를 준비했을 것이고 그래서 오히려 뻔하다고 생각했다.
<최애의 아이>는 작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진행시키기 위해서
캐릭터들이 작가가 시킨 행동과 생각을 한다는 인상을 강하게 준다.
이는 당연하게도 몰입 방해를 불러오고 전부 가짜처럼 느껴지게 만든다.
안 그래도 가짜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우연적 요소가 초반에 엄청나게 남용되는데,
시간을 들여 개연성을 확보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마저 논리적 비약이 있다는 의미이다.
초반의 우연
- 과거 환자가 좋아했던 아이돌이 마침 시골 주인공의 산부인과로 쌍둥이를 낳으러 온다.
- 주인공이 쌍둥이 오빠로 기억을 가진 채 환생한다.
- 환생했는데 하필 어머니가 그 아이돌이다.
- 호시노 아이의 쌍둥이 딸 또한 환생자다.
- 주인공이 환생했는데 하필 쌍둥이 여동생이 생전 과거 주인공의 환자이다.
'이거 다 왜 그런 거야?'란 관객의 질문에는 단 하나도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다.
그냥 작가의 목적에 맞게
'그렇게 해야 이런저런 장면(그것마저 자극적이고 원초적 흥미만을 불러일으키는)으로
이어질 테니깐'이 그 허무한 답이다.
- 시간
- 수 오후 11:00 (2023-04-12~)
- 출연
- 타카하시 리에, 오오츠카 타케오, 한 메구미, 이와미 마나카
- 채널
- 토쿄 MXTV
(참고) <최애의 아이> 1화 (Mother and Children) 장면 카드 몇개, (스포 다수)
(참고) <최애의 아이> 1화 (Mother and Children) 장면 카드 몇개, (스포 다수)
1화 (Mother and Children) 스토리 분석 리뷰, 개연성 문제 (스포O) 1화 (Mother and Children) 스토리 분석 리뷰, 개연성 문제 (스포O)" data-og-description="애니메이션 를 봤다.처음 애니메이션이 공개된 지는
onstory3acts.com
'스토리텔링 분석 리뷰 > 애니메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펑크: 엣지러너> 4화 "Lucky You" 리뷰 (1) | 2024.08.28 |
---|---|
<사이버 펑크: 엣지러너> 3화 "Smooth Criminal" 리뷰 (2) | 2024.08.27 |
<사이버 펑크: 엣지러너> 2화 "Like A boy" 스토리 분석 리뷰, 장면카드 (스포 O) (0) | 2024.08.26 |
(참고) <최애의 아이> 1화 (Mother and Children) 장면 카드 몇개, (스포 다수) (2) | 2024.08.24 |
사이버 펑크: 엣지러너, 1화 (기대와 실망) 플롯 리뷰 (0) | 2022.11.22 |
댓글